Intelligented by DeepX
NPU Based SOC
Technology
Developing SoC ASIC including DEEPX NPU
for commercial products
AI SW/HW
Optimization
Developing optimization technology
of both AI SW & HW to provide the highest NPU
efficiency for customer application needs
What we offer
Custom NPU
Design Service
Fully specialized NPU design service
for customer products
What we offer
NPU IP
Licensing
One of the most efficient NPU design IPs
for various customer applications
What we offer
SoC ASIC For
The Edge Devices
Commercial chip based solutions using DEEPX NPU
DEEPX
Technology
Strengths
State-of-the-art
DNN Algorithm
Support
Outstanding
NPU Efficiency for
Smart Mobility
Memory
Bandwidth
Maximization
Scalable
Performance
0.5 ~ 200 TOPS
Advanced DNN model
Compression
Support
news
-
- Notice
-
딥엑스, 현대차∙기아와 로봇 플랫폼용 AI 반도체 탑재 협력
-
-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탑재한 로봇 플랫폼을 위해 양사 전략적 기술 협력
-
지난 1년간 사전 기술 검증 과정에서 다양한 로봇용 AI 알고리즘을 구동하여 딥엑스 NPU의 최신 AI 알고리즘 지원, 우수한 AI 정확도, 높은 연산 효율 확인
-
"전세계 스마트 모빌리티 시장에서 딥엑스의 AI 반도체가 양산 가능한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잡는 기회가 될 것”
<사진 설명>딥엑스는 24일(금) 현대차∙기아 의왕연구소에서 딥엑스 김녹원 대표이사, 현대차∙기아 현동진 로보틱스랩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현대차그룹과 ‘로봇 플랫폼용 AI 반도체 탑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딥엑스가 로봇플랫폼용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위해 현대자동차∙기아와 기술 개발을 협력한다. 딥엑스는 24일(금) 현대차∙기아 의왕연구소에서 김녹원 대표이사, 현동진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현대차∙기아와 로봇 플랫폼용 AI 반도체 탑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딥엑스는 온디바이스 AI 컴퓨팅을 위한 AI 반도체를 개발하는 회사로서, AI 기술을 데이터센터 밖에 존재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고성능저전력으로 구현할 수 있다. 현재다양한 엣지 및 서버 AI 응용 분야에 맞춰 성능과 기능이 최적화된 AI 반도체 4종을 보유하고 있고 AI 반도체 원천기술과 관련한 국내외 특허도 150여개 이상 확보한 상황이다. 국내에서는 대표적인 AI 반도체 팹리스로 평가받으며 글로벌 엣지 AI 시장을 목표로 한다. 딥엑스는 지난 1년여간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과 진행된 사전 기술 검증 과정에서 로보틱스랩이 기존에 사용하던 GPGPU와 비교해도 손색없는 AI 정확도를 제공해 AI 기능의 우수함을 입증했다. 또한 로보틱스랩이 자체 개발한 다양한 로봇 응용 AI 알고리즘들을 원활하게 구동함으로써 로봇이 필요로 하는 AI 모델이 구현 가능하다는 것도 증명하였다. 특히, 인공지능 연산 성능 효율이 월등히 높아 배터리로 구동되는 로봇 제품의 양산에 적합할 것으로 평가받았다. 이번 협약은 현대차∙기아에서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인 로봇플랫폼에 딥엑스의 AI 반도체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기술 협력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양사는 로봇에 사용될 AI 기능을 딥엑스의 AI SoC(System on Chip) 제품에 탑재하고 양산 제품에 실장하기 위해 구동성 및 양산성을 검증해 최종적으로 로보틱스랩이 개발하는 로봇에 해당 AI 기술을 구현할 것이다. 김녹원 대표이사는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에 따르면, 2027년 전세계 스마트 모빌리티 시장의 규모가 1,445억 4천만 달러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반면 이 시장에 핵심 기술인 AI 반도체는 세부 분야 별로 최적화된 솔루션이 부재한 상태로, 양산 가능한 솔루션이 준비되면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상황이다.”라며 “글로벌 시장을 리드할 것으로 예상되는 현대차∙기아와의 기술 협력은 딥엑스의 AI 반도체가 해당 분야의 미래 시장에서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잡게 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되어 매우 고무적이다. 딥엑스는 2021년 NPU IP를 상용화한데 이어서 올해 NPU 칩을 제작하자마자 양산성에 대한 실증 테스트의 기회를 얻게 되어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 현동진 상무는 “로보틱스랩의 SW 기술과 딥엑스의 HW 기술을 결합하여 성능과 가격 면에서 우수한 로보틱스 서비스 개발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히며, “칩으로 제작된 딥엑스 NPU의 우수성에 대한 확인과 검토 후에 추가 협력과 연구개발 중인 로봇에 활용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
- 2023.03.30
-
- Notice
-
딥엑스, AI 스마트가전 상용화에 앞장선다
-
- 딥엑스가 독자 개발한 시스템 반도체를 400여개의 광주지역 가전기업에 제공, 일반 가전에 추론과 제어기능을 탑재한 AI 스마트가전 제작 예정
- 딥엑스의 국산 시스템 반도체 원천기술을 국내 가전기업에 제공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기술 혁신 및 경쟁력 강화 가능
(주)딥엑스(대표 김녹원, 이하 딥엑스)가 AI 반도체 개발 기업 중 최초로 일반 가전에 추론기능과 제어기능을 탑재해 스스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AI 스마트가전 상용화에 앞장선다. 딥엑스는 광주광역시와 (재)광주테크노파크가 지원하는 ‘AI가전사업 육성을 위한 상용화 지원플랫폼 구축사업’에 AI 반도체 및 보드 개발 지원 업체로 최종 선정되었다. 이 사업을 통해 딥엑스가 독자 개발한 NPU(Neural Processing Unit) 기반 시스템온칩을 400여개의 광주지역 가전기업에 제공해 실환경모사 테스트베드 진행 후 시제품을 제작할 계획이다. 400여개의 가전기업에 제공될 딥엑스의 NPU는 낮은 전력 소모를 가지고 높은 AI 연산처리 성능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응용을 위한 시스템 반도체로, 딥엑스가 독자 개발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원천기술이 응집되어 있다. EfficientNet, Yolov7, PIDNet 등 최첨단 AI 알고리즘 연산 처리를 지원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실효 AI 추론 연산 성능(FPS/TOPS)을 제공하며, 최신 AI 알고리즘의 연산 결과인 인공지능 정확도는 GPU 수준으로 확보하여 글로벌 엣지 NPU 시장에서 경쟁력과 기술력을 갖추었다. 또한 딥엑스의 NPU는 데이터 처리량이 적은 초소형 센서부터 최고 성능의 AI 알고리즘 연산을 요구하는 자율주행차, 추론형 AI 서버까지 체급별 AI 연산 성능과 다양한 기능 조합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 올해 하반기부터 고효율·고성능·고품질의 AI 프로세서 제품 4종을 삼성 파운드리 5나노, 14나노, 28나노 공정에서 각각 제작한다. 각각의 제품은 초당 2조 4000억번 연산(2.4TOPS)이 가능한 AI 기능으로 단일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DX-L1, 6.4TOPS로 카메라 3대의 영상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DX-L2, 카메라 10대 이상을 처리할 수 있는 30TOPS의 DX-M1, 28POPS(초당 경번 처리)로 동시에 1만대 카메라를 AI 기반으로 처리하는 DX-H1다. 이로써 AI 응용에 필요한 모든 AI 프로세서 요구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 딥엑스의 김녹원 대표는 “광주시가 AI 혁신 거점으로 AI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부문에서 서버용과 엣지용 NPU 기반 응용에서 실증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고 시장에 제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견인차 역할을 해주고 있다.”며 “이번 딥엑스와 광주시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 가전 뿐만 아니라 향후 다른 엣지 응용 분야와 데이터센터 서버 등 다양한 AI 반도체 혁신 제품을 출시하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라며 기대감을 표했다. 딥엑스의 비전은 서버 안에만 갇혀 있던 AI 연산 처리를 웨어러블, 집 안, 자동차 안, 추론형 AI 서버 등 일상생활의 반경으로 끌어와 ‘도처에 존재하는 AI(Pervasive AI 또는 Ubiquitous AI)’를 실현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김 대표는 “이번 AI 스마트가전 상용화 사업을 통해 유비쿼터스 AI 시대의 초석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딥엑스는 NPU 시장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여 모든 AI 반도체 응용 분야에 도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2022.09.07
-
- Blog
-
[CEO TALK] 중기부, 삼성전자 지원 <팹리스 챌린지 대회> 우수기업 선정 소감
-
안녕하세요. 저는 딥엑스의 김녹원 대표이사입니다. 오늘 이곳 중소벤처기업부와 삼성전자 파운드리가 시스템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의 혁신 성장을 지원하는 ‘팹리스 챌린지 대회’에서 딥엑스가 우수기업으로 선정되어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저희를 포함해서 선정된 다섯 개 기업 지앨에스, 스카이칩스, 세미브레인, 라온텍을 축하하기 위해 이 자리에 함께 해 주신 이 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님과 최시영 삼성전사 파운드리 사업부 사장님 등 귀빈을 비롯한 참석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 인사드립니다. 시스템 반도체 산업은 인류가 만들어낸 산업 중 700조 이상의 가장 큰 시장입니다. 시스템 반도체는 세계 선두 기술을 보유해야만 산업의 수익과 유지 측면에서 보상받을 수 있는 분야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파운드리부터 시스템 아키텍처, 시스템 소프트웨어, 로직 설계, 메모리, MEMS 및 센서, 아날로그 회로, 소자, 물성 등 굉장히 넓은 기술적 영역에서 우위를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수많은 서드 파티 비즈니스가 혼재되어 종합적인 비즈니스의 조화를 이뤄낼 수 있는 역량도 있어야 그 기반 환경을 조화롭게 형성할 있는 분야입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세계 최고의 독자적인 기술을 가졌다고 해도 다양한 이종 기술을 조합할 수 있고 방대한 생태계와 긴밀히 협력할 수 있는 능력이 시스템 반도체 산업 내에 있는 모든 기업에게 요구되는 것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세계 최고 수준의 파운드리 기술을 가진 삼성전자와 협력해서 국내 시스템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들의 혁신 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굉장히 높은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현재 이 시점이 대한민국이 시스템 반도체 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한민국은 지난 10여년간 세계 경제 10위권의 국가로 성장했습니다. 시스템 반도체 기술의 근간인 파운드리 기술과 생태계 조성에서 10년도 안되는 시간 안에 삼성 파운드리는 굉장히 빠른 속도로 TSMC를 따라잡고 있어 국내 시스템 반도체 산업 측면에서는 굉장한 호재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더불어 반도체가 패권국들의 경쟁 매개체가 되는 시점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시스템 반도체 기술의 가치를 인식하고 파격적인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 또한 굉장한 호재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AI 반도체 기술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팹리스 기술에도 새로운 도전이라는 기회가 주어지고 있어 국내 시스템 반도체 산업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는 전환기를 맞았다고 생각합니다. 훌륭한 건축물을 만들려면 뛰어난 건축기술과 설계도가 필요합니다.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파운드리 기술을 가진 삼성 파운드리가 존재합니다. 이제 세계적 수준의 설계도를 그려낼 팹리스 기업의 출현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그래야 세계 최고 수준의 시스템 반도체 기술을 가졌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인텔, 엔비디아, ARM, 퀄컴 등 글로벌 팹리스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뛰어난 기술을 가진 기업이 출현해야 합니다. 저는 이 과제가 2020년대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예상합니다. 왜냐하면 2030년대가 되면 특히 AI 반도체 기술과 시장 등이 안정화 되면 세계 최고의 대열에 올라탈 수 있는 기회가 급격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최첨단 기술이 돈과 시간을 투여하면 저절로 만들어 지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시스템 반도체의 역사에서 막대한 자금과 뛰어난 엔지니어들의 엄청난 희생에도 시장의 선택을 받지 못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던 사례가 있습니다. 빠른 속도로 선진 기술을 따라잡는 것보다 선두권 경쟁에 합류할 수 있는 독자적인 기술을 새로 개발하는 것이 시스템 반도체 설계 기술 분야에서 필요합니다. 과거 ARM, 퀄컴, 엔비디아 등이 본인들의 독자적인 기술을 무기로 빠른 속도로 시장을 형성하며 선두권을 차지하였습니다. 국내 팹리스도 이러한 모범 사례를 보여줄 ‘스타 팹리스’의 출현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딥엑스는 ‘도처에 존재하는 AI’를 위해 탄생한 벤처기업입니다. 10년전 50억개의 전자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되었습니다. 현재는 그 수가 500억개가 넘어가고 있습니다. 저희는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IoT 기기에 언젠가는 온디바이스 AI 기술이 탑재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AI 기술이 도처에 존재하게 되면 이는 수많은 응용 분야를 만들어 낼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인류의 일상생활을 완전히 바꾸면서 인류 문명은 초지능 문명으로 진화하게 될 것입니다. 딥엑스의 비전은 4차 산업 혁명이나, 탄소 중립, 단순한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넘어 인류 문명의 진화에 기여하는 데 있습니다. 이에 더하여, 딥엑스는 프로세서 기술 독립이라는 목표가 있습니다. 한국 사회는 지난 30여년간 CPU와 GPU 같은 프로세서 기술을 획득하기 위해 10조 이상의 투자를 해왔지만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현재까지 CPU와 GPU 기술은 대부분 외산 기술에 종속되어 천문학적인 로열티를 지불하고 있습니다. 딥엑스는 인공지능 프로세서 기술에서 국내 산업의 기술 독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딥엑스는 AI 반도체 원천기술의 특허 보유량으로 국내 AI 기업 중 최대입니다. 또한 지금까지 엔지니어들의 뛰어난 재능과 헌신을 통해서 AI 반도체의 원천기술을 확보해 왔습니다. 딥엑스의 NPU 기술은 최신 AI 알고리즘 연산 지원, GPU 수준의 AI 정확도, 실효 성능 효율 부분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올해 말 삼성 파운드리 5나노 공정에서 개발하는 딥엑스의 AI 칩을 통해 세계 최고의 전성비를 가진 NPU 기술 개발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국내 시스템 반도체의 침체기에도 꿋꿋하게 산업을 지켜오신 앞선 선배님들의 뜻을 이어 ‘세계 최고 시스템 반도체의 원천기술 개발’이라는 숙원을 푸는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딥엑스는 올해 말부터 DX-L1, DX-L2, DX-M1, DX-H1이라는 4개의 제품군을 출시하며 ‘AI 반도체’라는 최첨단 기술의 격랑 속으로 출사표를 내고 도전합니다. 모든 분들의 도움과 응원에 감사드립니다.
- 2022.07.29
-
- Media
-
5·14·28나노 공정 사용...초소형 센서, AI 서버 등 지원
- 2022.07.25
-
- Notice
-
제16회 상반기 대한민국 우수특허 대상(3회 연속 수상)
- 2022.07.25